연말정산 후 소득세를 환급 받게 되는 경우 전체 금액을 환급신청을 해서 환급 받는 방법이 있고 차기이월 하여 납부할 세액에서 매번 조정을 해 나가는 방법이 있다.
우리 회사는 매년 전자의 방법으로 전체 환급을 받아 오고 있어서 위텍스를 통해 환급신청 서류를 작성하는 방법을 포스팅 해 보기로 하겠다.
일단 지방세 환급을 받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서류들이 있으며 소득세 환급통지서 또는 소득세 환급된 입금내역 통장사본이 있어야 환급 진행이 가능하다.
1. 지방소득세 환급청구서
2. 소득자별 환급신청명세서
3.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전년도 및 올해 연말정산분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모두 제출)
4. 지방소득세 특별징수계산서 및 명세서
5. 소득세 환급통지서 또는 소득세 환급된 입금내역 통장사본
위와 같은 서류들이 필요하다고는 하나 지역마다 요구하는 자료들이 다르다고 한다. 지금껏 우리 회사는 1,2,3(올해 연말정산분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5번의 서류 제출로 환급을 받아오고 있다.
4번의 서류는 아직 한번도 작성해서 제출한 적이 없는데 이 서식이 왜 필요한지는 잘 모르겠다. 이 글을 읽고 아시는 분이 있다면 연락을 기대한다. 담당자인 내가 배우고 싶다.
1. 지방소득세 환급청구서

위 서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는 부분을 채워 넣으면 된다.
회사상호, 회사대표자성명, 법인번호, 사업자번호 등등 순서대로 작성하면 된다.
13번의 소득의 종류는 보통 근로소득이라고 적으면 되며 기타소득이거나 사업소득일 경우가 있으면 해당 내용으로 작성하면 된다.
14번의 귀속과세연도는 귀속 해당연도를 적는다. 일반적으로 전년도를 적는다.
15번의 당초 지방소득세는 작년 한해동안 전체 지방소득세 원천징수 납부한 금엑을 적는다.
16번의 경정 후 지방소득세는 연말정산 후 최종 결정된 세액을 적으면 된다.
17번의 조정 환급분은 당월 납부해야할 특별징수세액에서 차감된 세액을 적는다.
18번의 지방소득세 환급금은 환급 받아야 할 지방소득세를 적는다.
2. 소득자별 환급신청명세서

회사의 소득자별 직원 성명과 주민번호를 넣어 작성해나가면 된다.
1번의 당초세액 기납부세액은 작년 한해 동안 납부한 총 지방소득세를 적는다.
2번의 결정세액은 연말정산을 통하여 결정된 지방소득세를 적는다.
3번의 환급할 세액은 1번에서 2번을뺀 금액을 적고
4번의 조정환급한 세액은 2월 급여에서 차감한 지방소득세 상계처리된 금액이 있을 것이다. 그것을 적는란이다.
5번의 환급신청액은 3번에서 4번을 뺀 최종 환급 금액이다.
※ 팁 한가지
소득자별 환급신청명세서 상의 총 환급금액과 위 지방소득세 환급청구서 란의 총 환급금액과 일치하게 하려면
지방소득세 환급청구서의 17번의 조정환급분을 조정하여 일치시키면 된다.
나의 경험으로는 꼭 일치가 안되어도 지방 시청에서 지방소득세 환급청구서의 총 환급금액으로 입금을 시켜 주긴 하지만 그래도 환급금 총액과 환급 받을 총액을 일치시키는 것이 맞는 방법인 것 같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천세 가산세 계산 (0) | 2021.05.11 |
---|---|
연말정산 환급금 분개처리 (0) | 2021.03.15 |
연말정산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작성 (0) | 2021.03.09 |
연말정산 원천징수이행상황 신고서 - 중도퇴사자 소득세분 (0) | 2021.03.08 |
차량운반구 캐쉬백 입금 분개 (0) | 2021.03.02 |